분류 전체보기 (3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음표와 쉼표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박자 잘 세는 방법(악보읽는법)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에는 높은음자리와 낮은음자리표 계이름에 대해 공부해보았는데요. 악보를 읽을 때 중요한 것은 계이름과 박자입니다. 오늘은 박자를 셀 때 너무나 중요한 음표와 쉼표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음표와 쉼표는 사실 아래 그림보다 더 많이 있지만 오늘은 1박 단위의 음표와 쉼표만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다른 음표들과 쉼표들도 알면 좋고 결국에는 알아야만 하지만 일단은 1박 단위의 음표와 쉼표부터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악보를 직접 셀 때는 어떻게 세는지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데요. 개인적으로 계이름은 암기의 영역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어떤 음이든지 봤을 때 바로바로 계이름이 나올 수 있게 그 자리 자체를 외워버려야 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박자는 암기에 습관이 더해져야 한다고 .. 악보 계이름 잘 읽는(보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계이름을 잘 읽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계이름을 잘 읽는 특별한 비법 같은 것이 있는 건 아닙니다. 계이름 읽기 역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반복적으로 읽는 방법을 연습해야 하는데요. 이때 계이름 읽는 습관을 잘 들여놓아야 합니다. 피아노, 또는 다른 악기나 음악을 배울 때 계이름을 배우고 악보를 읽게 될 때 보통 높은 음자리 가온 '도'부터 계이름을 배우게 되는데요. 계이름을 배우고 나서는 어떠한 악보나, 무작위로 음표가 그려진 연습지를 보고 계이름을 읽는 연습을 계속해서 해야 합니다. 계이름을 잘 읽지 못하면 연주를 할 때 악보를 읽는 것 만으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계이름을 바로바로 읽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너무나 중요한 것입니다.(마치 우리가 한글을.. Minor Chord 마이너코드 쉽게 외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마이너 코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코드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음정이나 스케일 등 여러 가지를 제대로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좋지만 저의 게시물에서는 초보자들이 조금 더 쉽게 음악이나 코드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설명할 마이너 코드를 완벽하게 암기하기 위해서는 지난 시간에 설명한 메이저 코드에 대해 완벽하게 암기하고 있어야 합니다. 메이저코드에 대해 완벽히 학습된 상태라면 90프로 마이너 코드도 이해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이저 코드가 아직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메이저(Major) 코드와 코드 외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드 중에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메이저(Major)코드(장.. 공주 전국 버스킹 대회 1등 상금 1000만원! 안녕하세요. 공주문화재단에서 주최하는 전국 버스킹대회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공식명칭은 ' 제 1회 공주대학로 거리 페스티발'입니다. 접수기간은 2023년 7월 1일~ 7월 28일 16시 까지이며 공연은 2023년 10월 7일~10월 9일에 하게 됩니다. 최대 42팀까지 모집하니 관심있는팀은 지원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이번 버스킹은 음악, 퍼포먼스, 무용 3가지 분야로 나뉘어져서 모집하고 있으니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이 참여가 가능할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공주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주문화관광재단 (gongjucf.or.kr) 메이저(Major) 코드와 코드 외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드 중에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메이저(Major)코드(장3화음)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메이저 코드는 근음을 기준으로 장3도 위의 음, 완전5도 위의 음, 3개의 음으로 구성되어있는 코드입니다. 메이저 스케일을 기준으로는 1, 3, 5번째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 코드의 경우 도, 미, 솔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물론 메이저 코드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완벽하게 코드를 외워서 바로 연주 할수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메이저코드를 완벽하게 외우지 못한다면 마이너 코드, 세븐스 코드 등 여러 코드를 외우는 것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메이저코드 12키를 정확히 외우는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12키를 외우는것이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지만 반복해서 연습하다보면 많이 어렵지.. 로직으로 간단하게 음원 편집해서 mp3파일 추출하기 로직으로 음원을 편집해서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로직을 처음 열게 되면 이러한 화면이 뜹니다. 우선 처음 화면에서 비어있는 프로젝트를 눌러주세요.이미 있는 오디오 파일을 편집 할 예정이므로 오디오를 선택해줍니다.이제 자신이 편집 할 파일을 불러올텐데요. 바탕화면에 파일이 있다면 마우스로 끌어서 트랙에 넣으셔도 되고 위의 메뉴에서 파일 - 가져오기 - 오디오파일에 들어가셔서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시면 파일이 불러와집니다.파일을 불러왔구요. 엔터를 치면 파일을 들어볼 수 있어요.이제 편집을 해볼텐데요. 우선 잘라내기를 해보겠습니다. 지금 화면에서는 7에서 9구간을 잘라내보겠습니다. 키보드로 T를 누르면 이러한 메뉴가 뜹니다. 이 때 가위 도구를 선택해주세요.그러면 가위모양이 나오고 가위모양이.. 단음계의 3가지 종류(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 오늘은 단음계(minor Scale)의 3가지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음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음계(Major Scale)를 잘 파악하고 있다면 더욱 찾기가 쉽기 때문에 지난 시간에 배운 장음계에 대해 짧게 복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음계는 3-4, 7-8번째 음이 반음 간격이고 나머지 음들은 모두 온음 간격인 음계입니다. 예를 들어 다장조 음계(C Major Scale)의 경우와 가장조 음계(A Major Scale)를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순서로 온음과 반음이 나오게 될 경우가 장음계입니다. 이렇게 장음계 스케일 12 키를 확실하게 이해하고 익혔다면 단음계는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우선 단음계는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화성단음계(Harmonic minor), 가락.. 음악의 조성과 조표2 지난 시간에 이어 음악의 조성과 조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샾)이 들어간 조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b(플랫)이 들어간 조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플랫이 붙는 순서는 시 - 미 - 라 - 레 - 솔 - 도 - 파입니다. 즉 플랫이 3개 붙어있는 악보라면 시, 미, 라에 플랫이 붙은 상태입니다. 플랫이 붙은 악보의 조성은 플랫이 붙은 순서대로 봤을 때 가장 마지막에 붙은 플랫의 '바로 앞'의 음이 그 악보의 으뜸음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악보를 봐주세요. 시, 미, 라에 플랫이 붙었다면 마지막의 '라' 말고 동그라미 친 그 앞의 '미'가 그 음의 으뜸음이 됩니다. 그런데 미의 경우 이미 조표에 플랫이 붙어있는 상황이니 미플랫이 그 악보 의 으뜸음이 되어 Eb Ma.. 음악의 조표와 조성(장조)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음악은 조성이 있고 그 조성에 따라 조표가 달라지는데요. 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조표는 악보의 음자리표 다음에 붙어있는 #(샾) 또는 b(플랫)으로 이 조표에 따라 곡의 조성이 정해지게 됩니다. 우선 조표(#, b)은 붙는 순서가 정해져 있는데요. #(샾)은 파 - 도 - 솔 - 레 - 라 - 미 - 시의 순서이고 b(플랫)은 시 - 미 - 라 - 레 - 솔 - 도 - 파입니다. 조표가 붙는 순서가 있다는 것은 반드시 그 순서대로 표기를 해 주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 순서는 음자리표 다음부터 시작되는 순서이며 조표는 아래의 그림처럼 그리면 됩니다. 조표의 개수에 따라서 조성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조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조표가 아예 없는.. 창작준비지원금<창작디딤돌> 대상자 선정 결과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준비금지원사업의 2023년 상반기 선정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창작준비지원금사업에 24239명의 예술인이 신청하였다고 하는데요. 그중 10000명이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반 이상의 인원이 창작준비지원금을 받지 못했네요. 선정 기준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소득평가액 확인, 가점부여를 위한 서류 확인 등이었다고 합니다. 다음 링크에서 창작준비지원시스템 사업 신청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구요. 창작준비금지원사업 (kawfartist.net) 창작준비금지원사업 창작준비금 지원(1인 200만원, 생애 1회)을 통한 신진예술인의 자생력 확보와 전문 문화예술 생태계 진입 촉진 사업소개 사업명 신진예술인 창작준비금지원사업-창작씨앗 사업기간 2022년 연중 ..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